문제해결

건폐율 용적률 뜻과 계산법

rootHarry 2024. 2. 27. 22:52

부동산을 공부하거나 관심이 있다면 반드시 만나게 되는 용어가 건폐율과 용적률 입니다. 그래서 건폐율과 용적률의 뜻과 계산 상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용적률 증가에 따른 아파트 단지 비교를 해 두었습니다. 

 

 

1. 건폐율, 용적률 뜻과 계산법 한줄 정리

■ 건폐율 =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 = 건축면적 / 대지면적 X 100

용적률 = 대지면적에 대한 지상층 바닥면적의 합계에 대한 비율 = 지상층 바닥면적 / 대지면적 X 100

 

 

2. 건폐율

 

건폐율은 앞서 요약 정리한 것처럼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바닥면적의 비율입니다. 따라서 건폐율이 낮을 수록 대지에서 녹지면적이 넓고, 건물 사이에 여유공간이 많아 쾌적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개별 토지의 건폐율과 용적률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일명 국계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실제로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게 됩니다. 

 

 

3. 용적률

 

용적률은 대지면적 대비 지상층 바닥면적의 합입니다. 용적률을 단순하게 보면 대지면적 대비 건물 층수가 높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용적률은 재건축을 할 때 특히 중요한합니다. 기존의 용적률과 개발 가능한 최대 용적률과의 차이가 클 수록 사업성이 좋습니다.

 

 

대한민국에서 용적률은 80~1500%의 범위로, 도시의 주거지역은 최대 500%까지 올릴 수 있으나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의해 실질적으로 최종 결정되기 때문에 실제 원하는 지역의 용적률을 알기 위해서는 해당지역의 조례를 확인해야합니다.

 

4. 아파트 용적률에 따른 차이 비교

아파트 용적률이 100% 늘어날 때마다 달라지는 차이를 한 번 비교해 보세요. 다만, 사진은 찍은 위치와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니 이 점은 유의 해 주시고, 사실 단순히 용적률이나 사진으로만으로 부동산의 가치를 말할 수 없으니 용적률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부동산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건폐율과 용적률은 늘 따라다니기 때문에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그럼 좋은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