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D, OLED는 빛을 내는 반도체, 다이오드 입니다
지난 번에 반도체의 구분(종류)에 대해서 잠깐 정리해 봤습니다만, 마치 수업시간 마냥 지루하기만 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실제 우리 주변에 있는 반도체들을 하나씩 찾아보려고 합니다.
▶지난글 [반도체] ②반도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반도체 슈퍼사이클을 준비하며> (tistory.com)
[반도체] ②반도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반도체 슈퍼사이클을 준비하며>
▶이전글 " data-og-description="반도체의 정의와 왜 필요한지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약 1eV (전자 볼트)의 에너지 갭을 갖는 도체도 아니고 절연체도 아닌 물질을 반도체라고합니다. 그래서 반도체는
mytrivia.tistory.com
■ 첫 번째는 다이오드 입니다.
다양한 다이오드들 ▶다이오드라고 하면 조금 생소한가요? 그럼 LED와 OLED는 어떤가요?
이케아의 LED전구와 삼성 노트10 OLED 디스플레이 LED는 전구, OLED는 휴대폰 액정이잖아요! 맞습니다. 정확하게는 빛을 발하는 반도체 소자 입니다.
- LED = Light Emitting Diode
- 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의 약자입니다. 전류를 가하면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광반도체'이죠
▶우리가 사용하는 휴대폰의 근접센서도 다이오드를 활용합니다.
근접센서가 어렵다구요? 휴대폰에 얼굴이나 손이 가까워지면 화면이 어두워지고 멀어지면 밝아지도록 하는 센서에요. 휴대폰이 좋아질수록 근접센서는 디스플레이 속에 숨어서 잘 찾기 어려운데요.
노트9을 예로들면 아래 왼쪽부터 세번째, 네번째 두 구멍을 통해서 이런 역할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여기에서 쓰이는 것이 포토 다이오드라고 하는 반도체 입니다.
이것은 LED와는 반대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며, 빛의 강도에 비례하는 전압을 만들어 냅니다.삼성전자 갤럭시 노트9의 상부이미지 ● 광 근접센서의 원리 이미지 - 포토다이오드와 LED가 함께 사용됩니다.
출처. http://www.epnc.co.kr/news/articlePrint.html?idxno=8621 다음번에는 여기서 한 단계 더 들어가서 OLED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고, 관련 기업들을 찾아서 정리 해 보겠습니다.
'문제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단하게 온라인에서 무료로 PDF 용량 줄이기/PDF 압축, PDF 분리하기/나누기 (0) 2021.06.07 하나금융투자 비대면 계좌개설 20일 제한 feat. 하나은행계좌연결 (0) 2021.04.19 [반도체] ②반도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반도체 슈퍼사이클을 준비하며> (0) 2020.12.18 [반도체] ①반도체 넌 누구냐? <반도체 슈퍼사이클을 준비하며> (0) 2020.12.16 [부동산] 집도면, 인테리어, 가구배치 고민해결 feat. floorplanner & IKEA 플래닝 스튜디오 (0) 2020.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