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9. 23.

    by. rootHarry

    식약처 발표 염색약 위해성분 14개 리스트

     

    #  식약처 염색약 성분 76종에 대한 위해성분 전수조사 진행 중으로 23년 완료 예정
    # 식약처 조사 진행 중 위해성분으로 밝혀진 14개 성분 리스트 발표

    # 아직 위해성분 포함 염색약 제품 리스트는 발표하지 않음

    # 현재는 염색약 성분표에서 위해성분이 들어있는지 각자 확인해야 

     

    게티 이미지 뱅크

     

     

    식약처가 지난 8월에 염색약 성분 76종에 대한 위해평가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8월에 1차로 5종, 9월에 2차로 8종의 성분에 대해 위해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고 하는데요,

    현재는 위해성분으로 밝혀진 14개 성분 리스트만 발표된 상태이고,
    위해 성분이 포함된 제품리스트는 발표되어 있지 않습니다. 

    각자 개별적으로 14개 성분 리스트를 파악하고, 
    제품별로 일일이 그 성분이 들어있는지 살펴봐야 하는 상황입니다.

    차후에 제품리스트도 발표한다고는 하는데, 그 때까지 기다릴 수 없으니,
    14개 성분을 한번 알아봅시다.

     

    # 1차 염색약 위해성분 리스트

    o-아미노페놀, 염산 m-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카테콜, 피로갈롤 4종입니다.

     

    # 2차 염색약 위해성분 리스트

    니트로-p-페닐렌디아민, 과붕산나트륨(과중산나트륨 일수화물), 2-아미노-4-니트로페놀, 2-아미노-5-니트로페놀, 황산 o-아미노페놀, 황산 m-페닐렌디아민, 염산 2,4-디아미노페놀, 황산-o-클로로-p-페닐렌디아민 총 8종입니다.

     

    # 기존 염색약 위해성분 

    THB(트라이하이드록시벤젠) : 최근 염색샴푸 논란 관련 성분으로 2019년부터 사용금지 성분이었음.

     

     

    # 염색약 위해물질 유전독성이나 발암물질 포함

    유전독성이란 사람 유전자에 손상이나 돌연변이를 일으켜 암이나 알츠하이머 등이 발병하거나
    유전자 손상이 자손에게 유전될 가능성이 있어 아주 적은 양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염색은 사실 꾸준히 계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는 데 정말 큰 문제가 될 수 있는 거 같네요.

     

    # 1차 조사 5개 물질이 들어간 국내 제품 약 3천600개 정도로 파악되었고, 
    2차 조사 8개 물질이 들어간 제품은 파악 중

    5개 물질이 들어간 제품만 3천600개라면 정말 많은 제품이 위해성분을 포함한 것으로 볼 수 있겠네요.

    현재로서는 염색약이나 염색 샴푸의 전성분을 일일이 확인해 봐야 하는데, 작은 글씨로 적힌 성분표를 모두 본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죠 --;;

    일단 발표된 위해성분 포함 제품은 염색샴푸로 2가지가 있습니다.

    모다모다 염색 샴푸
    토니모리의 튠나인 네추럴 체인지 컬러샴푸

     

    물론 위해성분 조사가 2023년에 완료될 예정이라, 빨리 정리가 될지도 의문이긴 합니다.
    중간에 제품리스트가 발표된다던지 하면 또 정리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그리고 좋은 하루를 만들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