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iC 전력반도체 관련기업들은 어떤 곳이 있을까 찾아보았습니다
▶ 국내기업
기업명 종목번호 내용 티씨케이 064760 SiC링 압도적 국내1위 업체 하나머터리얼즈 166090 식각공정용 실리콘 부품을 제조하는 업체 예스티(예스파워테크닉스) 122640 SiC 전력반도체 생산 회사 SK실트론 (비상장) 국내 유일의 실리콘 반도체 웨이퍼 제조 전문기업, 미국 듀폰 SiC 웨이퍼사업부 2020년 인수 1. 티씨케이
SiC링 시장내 압도적인 지위를 갖춘 업체로 2014년 본격 SiC링 시장에 진입하여 반도체 고객사의 내구성 강한 링에 대한 니즈를 처음으로 충족시켜준 업체입니다. SiC 웨이퍼 사업을 시작으로 식각장비용 SiC 링, 반도체 공정용 솔리드 SiC 웨이퍼 등도 다루고 있습니다. 생산능력, 수율, 수익성 등은 타 경쟁사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 높은 업계 1위 입니다.
SiC링은 시장은 식각공정 부품으로, 하부 포커스링에 주로 쓰이는 부품입니다. 현재 하부 포커스링 내 침투율은 20%수준으로 파악되며, 현재 초과 수요 상황이며, 어려워지는 기술전환과 빨라지는 교체주기 감안시,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이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2. 하나머터리얼즈
식각공정용 실리콘 부품을 제조하는 업체, 실리콘링, 실리콘 일렉트로드 등이 주요 제품입니다.
비포마켓 부품업체로서 반도체 고객사 직납이 아닌 주로 식각장비업체향으로 납품을 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과점화된 식각 시장 내 글로벌 해외 장비 3사 모두 납품 중 입니다.
13년경부터 SiC 시장 진출 노력은 시작하였고, CVD-SiC 관련 기술은 3년 전부터 본격 체득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일부 소재 퀄이 완료되며 순차적으로 아이템을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여전히 1위업체인 티씨케이와 기술력 차이는 크다고 판단되지만, 독점구조이자 초과수요시장으로 세컨벤더 니즈가 컸던 고성장 SiC링 시장 진출을 통해 안정적으로 세컨벤더로 자리잡아 갈 것으로 예측합니다
2020년 하반기부터는 650억원을 들여 설립한 아산 공장을 통해 SiC 제품이 본격 양산될 예정이고, 한솔케미칼에 특수가스사업을 양도하는 등 SiC 사업에 주력하는 분위기 입니다.
3. 예스파워테크닉스(장비업체 예스티 관계사)
SiC 전력반도체 생산 업체로 2018년 SiC 다이오드 및 파워 모스펫(MOSFET) 라인업 구축한 회사입니다. 2020년 처음으로 해외수출에 성공했습니다.
4. SK실트론
국내 유일의 실리콘 반도체 웨이퍼 제조 전문기업이며, 미국 듀폰의 SiC 웨이퍼 사업부를 2020년 인수하였습니다.
듀폰의 SiC 웨이퍼 사업은 독자 생산설비 설계 및 운영 노하우 등을 바탕으로 미국, 유럽 등지의 대형 전력반도체 제조사 대상 제품을 공급 중이며 세계적인 수준의 품질과 양산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분야는 미국 크리, 유럽 인피니언·ST마이크로 등이 강세로 국내보다는 외국 업체들이 시장을 선점했습니다. 더욱 많은 국내 기업들이 성장하고 시장에 진입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이슈] 차량용 반도체 / 자동차용 반도체 관련 세계 3대 기업, 관련주 (0) 2021.01.10 [산업이슈] 2021 주목해야할 정부 정책 '혁신성장 BIG3' (0) 2021.01.10 [CES] CES 2021 일정과 참여기업 (2) 2021.01.06 [주식이슈] 3월 공매도 재개, 공매도는 무엇일까? 공매도의 문제점 (0) 2021.01.03 [주식이슈] 한국 주식시장 2020년 12월 31일 휴장, 2021년 1월 4일 개장 (0) 2020.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