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 1. 13.

    by. rootHarry

    [투자이슈] 차량용 반도체 / 자동차용 반도체 국내 관련주

     

    1월 12일자 키움증권이 '삼성전자, 차량용 반도체 사업 강화'라는 제목으로 사업브리프를 발표했네요. 차량용 반도체는 전기자동차, 자율주행 스마트 모빌리티와 함께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유망 산업임이 틀림이 없습니다. 지난 번에는 차량용 반도체 세계 3대 업체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국내 기업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2021/01/10 - [[투자정보] Economic freedom] - [투자이슈] 차량용 반도체 / 자동차용 반도체 관련 세계 3대 기업, 관련주

     

    [투자이슈] 차량용 반도체 / 자동차용 반도체 관련 세계 3대 기업, 관련주

    [투자이슈] 차량용 반도체 / 자동차용 반도체 관련 세계 3대 기업, 관련주 2021년 1월 현재, 차량용 반도체 공급대란으로 전세계 자동차 업체들이 자동차 감산을 발표하고 있고, 차량용 반도체 업

    mytrivia.tistory.com

     

    현재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는 앞서 설명한 네덜란드의 NXP, 독일의 인피니언, 일본의 르네사스, 미국의TI, 스위스의 ST Microelectronics 등이 선두권에 있지만, 메모리 반도체나 파운드리 시장과 같이 절대 강자는 없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의 반도체 대표 삼성과 SK하이닉스도 차량용 반도체에 뛰어들고 있고, 점점 치열한 경쟁이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1.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2019년 차량용 반도체를 포함한 시스템반도체 분야에 133조 규모의 투자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후발 주자인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공정 경쟁력을 앞세워 차량용 AP (Application Processor)인 엑시노스 오토(Exynos Auto)를 출시해 아우디 A4 모델에 탑재했고, 2016년에 인수한 하만(Harman)과 공동으로 개발한 5G TCU(Telematics Control Unit)를 BMW 전기자동차(iNEXT)에 탑재할 예정이다. 또한 차량용 CIS(CMOS Image Sensor)인 '아이소셀 오토'를 출시해 자율주행 자동차의 시장 개화에 대비하고 있으며, 국내 현대자동차와도 반도체를 포함해 다방면 에서의 협업 관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워낙 넓은 사업범위를 갖고 있는 삼성전자를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나 관련 기업만으로 묶기에는 살짝 어려움이 있네요. 

     

    2. 해성디에스

    반도체용 패키징 재료인 Package Substrate와 리드 프레임을 생산 및 판매하는 부품/소재 전문 회사입니다. 해성디에스는 2014년 삼성테크윈(현 한화테크윈)의 반도체·소재부분을 해성그룹이 인수하면서 설립됐습니다. 1984년 삼성전자 리드프레임 사업부로 시작해 이후 삼성테크윈이 양수했고 2014년 해성그룹으로 주인이 바뀐 것으로 30년이 넘는 업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은 BGA, FC-FBGA, IC, LED, QFN, LOC, TR, 그래핀 등으로 PC, Sever 등 메모리 반도체 패키징 재료 또는 모바일 기기 및 자동차 반도체 패키징 재료가 됩니다. 매출구성은 리드프레임 67.6%, Package Substrate 32.39%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리드프레임은 자동차 전장 부품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재료로, 칩과 외부회로와 접속을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는 부품입니다.

    특히 해성디에스가 주목되는 점은 리드프레임의 2021년 매출액은 1755억원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할 전망이고, 고객사인 Infineon, STMicro가 내년 실적을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는 만큼 실적 상향 여력이 있다는 평가에서입니다. 하나금융투자가 예상한 내년 해성디에스의 매출액, 영업이익은 4866억원, 505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7.5%, 9.4% 증가할 전망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해성디에스 홈페이지

     

     

     

    3. 텔레칩스

    텔레칩스는 자율주행차와 스마트홈 등에 사용되는 시스템반도체를 주력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멀티미디어와 통신 관련 시장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제품에 필요한 핵심 Chip 및 그에 필요한 Total Solution의 개발과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삼성전자의 8나노미터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술을 활용해 자동차용 반도체를 생산, 현대차 등 기업에 반도체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텔레칩스는 올해 1월 출시된 제네시스 SUV 모델인 GV80에 처음으로 HUD 칩 '돌핀(TCC897x)'을 공급했고, 이후 지난 3월에 출시된 제네시스 3세대 G80에도 텔레칩스 칩이 적용됐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오는 12월에 출시 예정인 제네시스 GV70를 포함해 내년에 출시되는 제네시스 전 모델에도 해당 칩이 공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텔레칩스는 자율주행 차량용 AP까지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프로세서 뉴럴프로세싱유닛(NPU) AP 뉴럴돌핀(엔돌핀) 개발을 최근 시작하였고, 로드맵에 따라 콕핏용 AP에서 점진적으로 자율주행차용 칩 영역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현대차가 애플과 협력한다는 뉴스에 현대차에 차량용 반도체를 공급하는 텔레칩스까지 시장의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 

     

     

    4. 유니트론텍

    유니트론텍은 주요사업으로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유통과 IoT 제품 제조 및 S/W개발 등이고, 주요 상품으로는 메모리 반도체 관련 모든 제품과 비메모리 반도체, 전장용 디스플레이 모듈이 있음. IoT는 S/W 및 H/W 개발, 기간시스템 연계까지 Total Service 하고있습니다. 2020년 4월 주식회사 지피아이 지분 38.7% 취득하였고, 신규 사업으로 자율주행과 2차전지 관련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유니트론텍은 국책과제인 'AI기반 자율주행 컴퓨팅 모듈 개발 및 서비스 실증 사업' 수행과 관련 기업 투자를 통해 자율주행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AI기반 자율주행 컴퓨팅 모듈 개발 및 서비스 실증 사업'은 기업, 대학, 전문연구기관 등이 함께 수행하는 개발기간 3년(2019년 4월~2021년 12월), 총 사업비 200억원 규모의 과제로, 유니트론텍은 AI컴퓨팅 하드웨어 모듈 전반과 소프트웨어 패키지(BSP)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분 38.7%를 보유한 지피아이가 LG화학의 1차벤더로 테슬라에 사용되는 원통형 전지를 제조하는 등 LG화학의 핵심 라인에 납품하고 있어, 2차 전지에서도 주목되는  회사입니다.

     

     

    더 많은 관련 기업이 있으나, 오늘은 여기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저는 1차적으로 관련 기업들을 간략하게 훑어보고, 관심가는 기업에 대해서는 재무상태나 매출, 영업이익, PER 등등 더 깊게 살펴보고 신중하게 투자결정을 합니다. 조금이라도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기 바라며, 여러분들도 간략한 소개를 보시고, 관심이 가는 기업이나 섹터에 대해 깊게 공부하시고 신중하게 투자결정 하시기 바랍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