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이슈] 정부, 1.1조원 규모 자율주행사업 본격 착수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토교통부·경찰청 등 4개 부처는 1월 15일 범부처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2021년 신규과제 공모를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은 2027년까지 총사업비 1조974억원(국비 8천320억원)을 투입하는 사업으로 올해에는 53개 신규개발과제에 850억4천만원을 지원합니다.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산업부 등 4개 부처는 2027년 융합형 레벨4 완전자율주행 기반 완성을 목표로 ▲차량융합 신기술 ▲ICT융합 신기술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서비스 창출 ▲생태계 구축 등 5대 분야를 중점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주요사업 내용을 살펴보면,
1. 차량 융합 신기술 개발
기술수준 목표 18년 기준 82% → 93% 이상을 목표로 레벨4 자율차의 핵심 요소기술인 ▲자율주행 컴퓨팅기술, ▲인지예측 센싱 기술, ▲정밀 측위(Positioning) 기술, ▲협력제어 기술, ▲자율주행 -탑승자 상호작용 기술, ▲안전설계 기술 등의 개발을 추진
’21년에는 이 중 ▲핵심 인지센서 모듈, ▲AI기반 고성능 컴퓨팅기술, ▲자율주행차 플랫폼 등 15개 과제(182억원)를 우선 착수
2. ICT융합 신기술 개발
자율주행의 안전강화 및 지능고도화를 위해 ▲고성능 클라우드 서버와 교통 인프라의 엣지컴퓨팅 간 연계한 자율주행 3-Tier 구조, ▲차량 내·외부를 연결하는 차량통신(V2X), ▲보안기술 등을 개발
’21년에는 ▲자율주행 인지·판단·제어 AI SW기술, ▲자율주행 학습 데이터 수집·가공 기술 등 13개 과제(210억원)를 우선 착수
자율주행 AI 통합 프레임워크 개발, 데이터 스티칭 기술 개발, 이종차량 간 학습 데이터 공유를 위한 변환 기술, 초고속 V2X 低지연 안전연결기술,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기술 등
3.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개발
▲도로교통 시설과 융합방안, ▲다양한 교통주체(운전자·차량·보행자·인 프라·교통센터 등) 간 연계협력 방안 등을 개발
’21년에는 ▲디지털 도로·교통 인프라 융합 플랫폼, ▲도로상황 인지 고도화 기술 등 11개 과제(202억원)를 우선 착수
크라우드소싱 기반 디지털 인프라융합 플랫폼, 인프라센서 기반 도로상황 인지 고도화 기술,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미래도로 설계 및 실증기술, 레벨4 테스트베드 구축, 레벨4 대응 교통객체 인지 고도화 및 악조건 해소, 자율주행 혼재시 도로교통 관제기술 등
4. 자율주행 서비스 창출
▲교통약자(장애인·노약자 등) 이동지원, ▲실시간 수요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대중교통 서비스, ▲자율주행 공유차(Car-Sharing) 서비스, ▲국민 안전을 위한 긴급차량 통행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 개발 추진 < 7대 자율주행 공공서비스 >
’21년에는 ▲교통약자 지원, ▲수요대응 대중교통, ▲도로교통 인프라 모니터링 및 긴급복구 지원 등 3개 과제(83억원)를 우선 착수
5.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
자율주행 분야 글로벌 선도를 위한 ▲글로벌 표준체계 및 시험표준 개발(국제표준 5건 이상 반영 목표), ▲충돌상황 대비 안전성 평가기술, ▲자율주행 교통사고 분석시스템 개발 및 관련 법·제도개선 병행
’21년에는 ▲표준, ▲안전성 평가기술 등 생태계 구축 관련 모든 과제가 착수되어, 총 11개 과제(174억원) 착수 예정
자율차 주행안전성 평가기술, 통합보안 안전성 평가기술, 자율차 교통사고 분석기법 및 재현 SW, 자율주행시대 고위험 사고인자 단속기술 등
사업화 가능성을 높이고 사업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사나 핵심부품기업(1차 협력사) 등 수요기업 참여를 의무화한 수요연계형 과제를 기획할 계획으로, 관련 과제는 자율주행 아키텍처 기반 컴퓨터 플랫폼 상용화 기술개발, 자율주행 인지 예측/지능제어 차량 부품 시험기준 및 표준평가 기술개발 등입니다.
산업부 소관 과제 선정평가 때는 사업화와 경제성 배점을 30점에서 40점으로 높이고 수행기관의 사업화 이력 제출을 의무화하고, 과제목표를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무빙타깃제를 적용하고 자율주행 수요기업과 협의체를 구성·운영해 빠르게 변화하는 자율차 시장 트렌드를 적극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에서도 자율주행 관련사업을 BIG3 중 미래차 부분의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려는 듯 합니다. 새로운 기술 개발과 관련해서는 정부의 정책 방향과 투자가 중요한 만큼 항상 정부의 방향을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에는 자율주행 관련 기업에 대해 좀더 알아봐야겠네요.
투자는 항상 신중하게 결정하시고, 항상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출처 http://www.motie.go.kr/motie/ne/presse/press2/bbs/bbsView.do?bbs_cd_n=81&cate_n=1&bbs_seq_n=163716
보도/해명 |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내용 자율주행 1등 국가 도약을 위한 1.1조원 규모 범부처 자율주행사업 본격 착수 ‘21년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에 850억원 투입 - - 자율주행 사업화 성공을 위해, 부품·ICT·교통·서비스
www.motie.go.kr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이슈] 주가에 호재가 되는 이슈는 무엇일까? (2) 자사주매입, 증권사실적개선리포트, 구조조정, 액면병합(분할) (0) 2021.01.19 [주식이슈] 주가에 호재가 되는 이슈는 무엇일까? (1) 자산재평가, 정부정책추진, 상속 증여 등 (0) 2021.01.17 [투자이슈] 차량용 반도체 / 자동차용 반도체 국내 관련주 (0) 2021.01.13 [투자이슈] 차량용 반도체 / 자동차용 반도체 관련 세계 3대 기업, 관련주 (0) 2021.01.10 [산업이슈] 2021 주목해야할 정부 정책 '혁신성장 BIG3' (0) 2021.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