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2. 17.

    by. rootHarry

    중위소득 소득구간 간단 확인 방법

    # 2021년 대비 2022년 중위소득 평균 5.02% 인상
    # 복지정책 등 국가지원의 기준
    # 건강보험료로 소득구간 간단 확인 가능

     

     

    오늘은 중위소득에 대해서 알아보려구요.
    국가지원이나 복지제도 자격기준을 보면 
    자주 중위소득 100% 이상 등의 기준을 볼 수 있는데요,
    중위소득과 중위소득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이란 가구 전체의 소득을 순서대로 늘어놓은 다음
    중간 순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중위소득이라고 합니다.

     

    출처 시사인

     

     

    ■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이란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을 의미하며,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비롯한 12개 부처의
    복지사업 수급자 선정 기준에 활용되는 자료입니다.

    보건복지부 장관은 매년마다 기준 중위소득과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선정 기준 등을 고시하는데
    아래 표가 2022년 기준 중위소득표입니다.

    출저 보건복지부

     

    ■ 2022년 가구 규모별 중위소득표

    2022년 가구 규모별 기준 중위소득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건복지부

     

    ■ 중위소득 소득구간별 복지서비스

     

    - 교육급여 : 중위소득 50% 이하

    - 주거급여 : 중위소득 45% 이하

    - 의료급여 : 중위소득 40% 이하

    - 아이돌봄서비스 : 중위소득 150% 이하

     

    ■ 중위소득 소득구간 확인 방법

     

    중위소득표를 봐도, 내가 중위소득 몇%에 해당하는지
    알기가 어렵더라구요.
    간단하게 자신의 가구가 중위소득 몇%에 해당하는지 
    본인과 배우자의 건강보험료만 알면,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복지로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www.bokjiro.go.kr

     

    https://www.bokjiro.go.kr/ssis-teu/

     

    www.bokjiro.go.kr

     

    2. 복지서비스 > 모의계산 > 아이돌봄 서비스를 선택합니다.

    복지로

     

    3. 페이지를 아래로 내리면,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표가 보입니다.

    거기에 가구원수와 건강보험 구분, 건강보험료 부과액을 입력합니다.
    맞별이라면, 맞벌이 여부를 예를 선택하고, 
    배우자의 건강보험료 정보를 추가로 입력합니다.
    그리고 결과보기를 선택합니다.

     

     

    4. 결과보기 페이지로 넘어가면,
    아래와 같이 모의계산 결과각 나옵니다. 

    저는 임의로 가구원수 4명에 맞벌이로
    한명은 매월 건강보험료부과액 10만원, 한명은 3만원으로 입력해 봤습니다.

    그랬더니, 기준중위소득 75% 이하로 뜨네요.

     

    이 방법은 간단하게 참고용으로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우리 가족의 소득이 어느 정도에 해당하는지 알고 있어야,
    이용할 수 있는 복지서비스도 찾아볼 수 있으니, 도움이 되더라구요.

    매번 관공서에 확인하는 것도 번거로운 방법이니까요.
    하지만, 어디까지나 참고용이니, 정확한 기준은 읍면동사무소에 확인해야 합니다.

     

    오늘은 중위소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