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입신고 할 때 선택해야 하는 유형
세대구성, 세대분리, 세대편입, 세대합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러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전입신고 한 줄 정리
새대구성: 새로운 빈집으로 이사
세대편입: 누가 살고 있는 집으로 이사
새대분가: 같은 집에서 세대 분리하기
세대합가: 같은 집에서 세대 합치기세대구성
전입신고 시 말 그대로 세대를 만드는 것인데요,
한 세대는 한 주소에 사는 세대주와 세대원을 함께 포함하는 말로,
주민등록등본을 발급받았을 때 나오는 구성원이 한 세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 세대구성 예)
- 가족이 모두 새로운 집으로 이사한다.
- 부모님과 살다가 나 혼자 나와서 새로운 집으로 이사한다.
- 나 혼자 살다가 또 다른 새로운 집으로 이사한다.
세대편입
전입신고 시 세대주가 있는 집에 세대원으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세대 구성과 달리, 누군가 이미 살고 있는 집에 이사갈 때를 말합니다.
전입신고 세대편입 예)
- 우리 가족이 할아버지 집으로 들어간다. (세대주 할아버지)
- 혼자 살고 있는 내가 친구집으로 이사간다. (세대주 친구)
- 혼자 살고 있다가 다시 부모님 집으로 들어간다. (세대주 아버지)
- 부부가 떨어져 살다가, 다시 함께 살게된다. (세대주 부부 중 한 명)
세대분리
세대분가는 한 세대에 있는 세대 구성원 중 일부가 다른 세대로 분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소는 변동이 없고, 1세대가 2세대로 되는 것을 의미하고, 세대주가 2명이 생기겠죠?
이 때는 이미 한 세대로 전입신고가 되어 있는 것을 분리하는 것으로
이는 주민등록 정정신고를 하면 됩니다.또는 한 주소에 2개 이상의 세대를 만드는 것을 말하기도 합니다.
이 때는 전입신고 시에 따로 세대를 신고하면 됩니다.
하지만 한 주소에서 세대 분리를 하려면, 몇가지 요구되는 사항이 있습니다.
1. 원칙적으로 민법상 가족은 세대분리가 되지 않습니다.
단, 한 주소에 건물이 2개가 있거나 생활이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면 분리가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파트에 가족이 거주할 경우, 세대분리는 불가합니다.
2. 한 집에 가족이 아닌 동거인이 거주하는 경우, 소유주의 동의 하에 단독 세대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세대 합가
같은 주소에 분리 되어 있던 세대를 한 세대로 합치는 것을 말합니다.
세대 합가의 예)
- 지인의 집에 세대가 분리되어 있었는데, 동거인으로 한 세대로 합친다.
2023.02.04 - [생활정보] -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 세대주 확인이란? 이미 누군가가 살고 있는 주소로, 전입신고를 하려면, 그 주소에 전입되어 있는 기존 세대주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절차인
mytrivia.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부부 공동명의 장단점 - 취득세, 종부세, 양도세, 건강보험료 등등 (6) 2024.02.15 전세 월세 집주인 바뀌면, 계약서 다시 써야 할까? 임대인 변경시 주의사항 - 계약서 재작성, 보증보험, 확정일자 (4) 2024.02.15 2024년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신청 및 사용방법 총정리 (2) 2024.02.04 유튜브 프리미엄 우회, 넷플릭스 우회가 어려워 쉽게 해결한 방법 (1) 2024.01.11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쉽게 찾기, 문화누리카드로 할인받는 방법 알아보기 (0) 2023.11.17